정년과 연금 사이의 소득 공백기, 현명한 대처 방안은 무엇일까?
[목차]
은퇴를 앞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걱정해 봤을 문제, 바로 월급과 연금 사이의 공백기입니다. 직장에서 월급이 끊기면 그 충격은 상당할 수밖에 없죠. 특히 정년 이후 국민연금 수급까지 시간이 남아 있는 상황이라면 더욱 막막해집니다. 많은 사람들은 소득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하면 이 기간을 현명하게 대비할 수 있을까요?
국민연금 수령 시기의 문제
국민연금은 많은 이들이 은퇴 후 의지하는 대표적인 소득원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연금 수령 시기입니다. 국민연금이 처음 도입될 당시에는 60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점차 수급 개시 시기가 늦춰지면서, 지금의 1960년대 이후 출생자들은 62세, 63세, 그리고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년이 60세인 경우 국민연금을 받기 전 최대 5년의 소득 공백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공백기가 생기면 직장인들은 어떻게 생활비를 충당해야 할까요? 준비가 잘된 사람들은 미리 모아둔 자금으로 이 기간을 버틸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럴 여유가 없을 수 있습니다.
조기 노령연금, 해법이 될 수 있을까?
일부 사람들은 국민연금을 조기 수령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국민연금은 최대 5년까지 수령 시기를 앞당길 수 있습니다. 1969년생의 경우, 원래는 65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 조기 수령을 신청하면 60세부터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지난해에도 11만 2,000명 정도가 조기 수령을 신청했으며, 이는 전년도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조기 수령은 단점이 있습니다. 연금을 일찍 받는 대신 감액된 금액을 평생 받게 되는 것이죠. 수급 개시 연령을 앞당길 때마다 연금액이 6% 포인트씩 감액되기 때문에, 최장 5년을 당긴다면 연금액의 30%를 덜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원래 15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5년 당겨서 수령하면 약 105만 원만 받는 구조입니다.
조기 수령의 손익 계산
그렇다면 조기 수령이 과연 손해일까요? 아니면 이득일까요? 예를 들어, 63세에 원래 받을 수 있는 연금을 5년 앞당겨 58세에 받는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때 150만 원의 연금이 예상된다면, 5년을 앞당겨 받으면 105만 원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연금을 제때 받는다면 물가 상승률을 고려해 더 큰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74세 정도가 되면 조기 수령과 제때 수령한 사람의 누적 수령액에서 역전이 일어납니다. 즉, 74세까지 살아있다면 조기 수령보다 제때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건강 상태가 좋지 않거나 빨리 연금을 받아야 할 상황이라면 조기 수령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결국, 본인의 건강 상태와 경제적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 할 문제입니다.
※ 조기노령연금 수령 조건 :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며, 소득 활동에 종사하지 않은 사람
[아래표는 일정금액을 기준으로 한 예시입니다.]
※ 정상수령시 조기수령보다 12년 정도 되면 누적 수령액 역전이 일어납니다. (그때까지 건강하다면?)
※ 63세 정상수령 하신 분은 정확히 11년 8개월 차에 58세 조기수령 분들과 금액이 동일해집니다. 또한 매년 연금인상률을 고려한다면 조금은 더 빨리 수령액이 역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위의 내용은 예시로 보시면 되고, 내용이 틀리거나 잘못된 정보 전달 내용이 있다면, 댓글에 내용을 남겨주세요. 수정 및 삭제조치 하겠습니다.
연금 수령 시기를 미루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까?
조기 수령 대신, 연금 수령 시기를 미루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연금 수령 시기를 미루면 그만큼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년씩 연금을 미룰 때마다 연금액이 7.2% 상승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보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연금을 미루는 전략은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사람들에게 유리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유가 없는 사람들에게는 그만큼의 소득 공백을 감당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소득 공백기 대처 방법: 연금저축과 IRP
소득 공백기를 대비하기 위해 퇴직금과 연금저축, 그리고 IRP(개인형 퇴직연금)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퇴직금을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것이 중요하며, 연금저축과 IRP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득 공백기를 메울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 된다고 합니다.
연금저축과 IRP는 55세부터 수령이 가능하므로, 국민연금 수령 시기까지의 공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세금 혜택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다고 하니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마치며...
은퇴 후 소득 공백기는 누구에게나 큰 고민입니다. 특히, 국민연금만을 의지하기에는 그 수급 시기가 늦고 금액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자산 관리 방법과 미리 준비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연금저축과 IRP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세금 혜택을 받으며, 소득 공백기를 대비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건강 관리 역시 중요합니다. 결국, 연금을 얼마나 오래 받을 수 있을지는 우리의 건강 상태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아르인포]